여성가족부, 정권 교체기마다 존폐 위기 겪어 <br />부처명에 ’청소년’ 포함 추진…"논란과 관련없다"<br /><br />'여성가족부 폐지'. <br /> <br />지난 7일, 윤석열 대선 후보가 SNS에 올린 일곱 글자는 짤막하지만, 파장은 컸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 후보 (7일) : 현재 입장은 여성가족부 폐지 방침이고 더는 좀 생각을 해보겠습니다. 뭐든지 국가와 사회를 위해서 하는 일이라고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.] <br /> <br />유력 대선 후보의 발언 한마디로 정부 부처는 존폐 위기에 놓였고, 젠더 이슈가 전면으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재명 후보는 여가부 폐지를 넘어선 대안을 제시하라고 압박했고, <br /> <br /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10일) : 폐지한다, 반대한다를 넘어서서 뭔가 어떻게 하면 우리 사회가 더 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한 대안을 많이 말씀해주시면….] <br /> <br />심상정 후보는 '여성가족부 강화'라는 글을 올리며 맞불을 놨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스무 살을 맞은 여가부는 정권 교체기마다 여러 차례 존폐 위기를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2001년, 김대중 정부 시절 '여성부'란 이름으로 탄생했고, <br /> <br />2005년 노무현 정부 때는 복지부의 가족, 영유아 보육 업무를 이관받으며 '여성가족부'로 명칭을 바꿨습니다. <br /> <br />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'여성부'로 축소됐지만, 2년 뒤 다시 청소년 보호와 가족 업무가 추가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간 여가부가 여성의 권익 향상과 성평등 실현이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은 계속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여가부 전체 예산은 정부 예산의 0.2% 수준에 불과하고 이 예산도 오로지 여성만을 위해 편성된 게 아닙니다. <br /> <br />여성과 성평등 정책 관련해서는 단 7.2%만 편성됐고, 80%가 가족 돌봄과 청소년 보호에 쓰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여성가족부는 올 한해 청소년 정책 주무부처로서 역할을 강화하겠다며, 부처명에 '청소년'을 포함시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도 명칭 변경이 부처 폐지 논란과는 상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남훈 / 여성가족부 청소년과장 : 여성가족부 명칭에 청소년을 넣자는 논의는 갑자기 나온 건 아니고요. 지난 회기 때 모 국회의원께서 여성가족청소년부로 명칭을 변경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발의하신 적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앞서 지난해 7월, 정영애 장관도 부처 명칭을 '성평등부'나 '양성평등부'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가부 폐지나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11612345259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